연산자는 기본 프로그래밍 언어와 동일하게
대입 연산자, 산술 연산자, 비교 연산자, 논리 연산자, 증감 연산자 증이 존재합니다.
그예 와 사용법을 간단하게 설명합니다.
대입 연산자
// a(변수)에 3이라는 값을 집어넣는다
a := 3
// a(변수) dingo 라는 문자를 집어넣는다.
a = dingo
// a(변수) 에 dingo라는 변수의 값을 집어넣는다.
a := dingo
산술 연산자
쉽게 말해 사칙연산입니다.
// a(변수)에 3*4의 연산인 12를 넣는다
a := 3 * 4
// a(변수)에 3 + 4 라는 문자를 넣는다
a = 3 + 4
// a(변수)에 dingo(변수) 와 dingu(변수) 의 값을 곱해 연산한 값을 넣는다
a:= dingo x dingu
// a(변수)에 dingo(변수) 값과 문자 x와 dingu(변수) 값을 합쳐 문자를만든다.
a = %dingo% x %dingu%
여기서 알아야 할 점은
:= 뒤에 문자는 변수를 나타내는 것이며 숫자는 상수를 나타낸다
= 뒤에 모든 값들은 문자로 인식이 된다
변수를 사용할 시에는 % 변수% 를 사용하면 된다
비교 연산자
비교연산자 | 예제 | 설명 |
> | A > B | A는 B보다 크다 |
< | A < B | B는 A보다 크다 |
>= | A >= B | A는 B보다 같거나 크다 |
<= | A <= B | B는 A보다 같거나 크다 |
= | A = B | A는 B와 같다 |
<> | A <> B | A는 B와 다르다 |
//if문을 사용한 예제
a := 30
if(a >20) {
msgbox, a는 20보다 크다 // a > 20 이 참일 경우 실행
}else{
msgbox, a는 20보다 작다 // a > 20 이 거짓일 경우 실행
}
산술 대입 연산자
연산을 먼저 한 후 대입을 한다
산술-대입 연산자 | 예제 | 설명 |
+= | a += 2 | a값에 2를 더해 넣는다 (a = a+2) |
-= | a -= 2 | a값에 2를 빼서 넣는다 (a = a-2) |
*= | a *= 2 | a값에 2를 곱하여 넣는다 (a = a*2) |
/= | a /= 2 | a값에 2를 나누어 넣는다 (a = a/2) |
논리 연산자
논리 연산자 | 예제 | 설명 |
&& | a = b && c = d | a는 b와 같다 그리고 c는 d와 같다 |
|| | a = b || c = d | a는 b와 같다 또는 c는 d와 같다 |
! | a != b | a는 b와 다르다 (부정) |
증감 연산자
증감 연산자 | 예제 | 설명 |
++ | a++ | a값을 1증가 시킨다 |
-- | a-- | a값을 1감소 시킨다 |
연산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= 과 := 을 구분하여 잘 사용해주시면 됩니다.
'언어 > AUTOHOTKE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오토핫키] 5강 내장 변수 알아보기 (0) | 2020.01.15 |
---|---|
[오토핫키] 4강 이스케이프문자 사용법 (0) | 2019.11.07 |
[오토핫키] 2강 메시지박스 사용법 (0) | 2019.10.28 |
[오토핫키] 1강 변수란 무엇인가? (0) | 2019.10.28 |
오토핫키 명령어 모음 (0) | 2019.10.22 |